퀸스갬빗

A=연간 순이익 증가율, 성장의 열쇠를 찾으라 by 윌리엄 오닐 본문

단기 투자

A=연간 순이익 증가율, 성장의 열쇠를 찾으라 by 윌리엄 오닐

Queen's Gambit 2023. 1. 29. 22:21
반응형

연간순이익 증가율이 높은 것 사라.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주식이라면 최근 분기 순이익이 아주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연간 순이익 증가율도 돋보여야 한다. 

연간 순이익 증가율이 20-50% 이상은 넘어야 한다. 

한기업의 주가가 본격적 상승세를 타기 직전 5년동안 나타나는 전형적인 주당 순이익 증가 추세는 0.75달러에서 1.15-> 1.85->2.65->4.00달러 5년가운데 한해는 직전 연도보다 줄어들어도 곧바로 다음해에 순이익이 늘어나  사상 최고치 행진을 다시 이어갈 경우 매수 해 볼 만하다. 

 

 

자기자본 이익률 높은 것 

자기자본이익률 + 주당현금흐름

자기자본이익률 roe = 순이익을 자기 자본 금액으로 나눈것으로 기업이 자기 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지를 보여준다. 최고의 주식은 연구 결과 최소 17% 의 자기 자본 이익률을 기록했다. 

현금흐름은 순이익에다 감가 상각비 처럼 현금 지출이 없는 비용을 더하고 현금수익이 없는 수익을 뺀것인데 기업이 내부적으로 창출한 현금이 어느정도인지를 보여주는 척도. 

 

 

최근 3년간 순이익 증가가 얼마나 안정적인가  

 

 

주식시장의 일반적인 사이클은 어떤 모습일까 

주식시장의 역사를 보면 강세장은 대부분 2-4년간 지속되며, 곧이어 약세장이나 경기 후퇴가 뒤따라 온다. 

그리고는 또다시 강세장이 시작되는 것이다.  

새로운 강세장이 막 시작할 무렵이면 대개 성장주가 시장 주도주로 처음 등장하고 신고가를 쏟아낸다. 이들 기업은 약세장 기간에도 매 분기 순이익이 증가 해왔지만 시장이 안좋아 주가가 오르지 못했던 것이다. 

 

전통산업에 속한 경기 민감주 (철강, 화학 ,제지, 고무, 기계업종) 는 새로운 강세장의 초기 국면에서 평균 투자 수익률을 밑도는 게 보통이다. 그리고 나서야 시장의 관심은 실적이 급반전한 턴어라운드 주식과 경기 민감주 혹은 새로이 업황이 개선된 업종으로 눈을돌리지만 그리 오래가지는 않는다. 

 

-주식 용어 턴어라운드는 기업의 실적 개선으로 8~10배 주가가 오른 경우를 뜻한다.

경기민감주의 랠리는 단명에 그치기쉽고 순이익이 다시 감소할 조짐만 보이면 하락세로 돌변하기 십상이다. 

턴어라운드 주식을 사기로 했다하더라도 연간 순이익 증가율이 적어도 5-10% 되어야 하고 분기 순이익이 2분기 연속 급증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1년간 순이익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거나 근접해야 한다. 순이익 증가추세가 가파를 수록 좋다. 

 

주가수익비율per 보다는 주당 순이익 증가율이 더 중요하다.

주식시장에 안전하고 확실한 것은 없다. 무조건 매수나 무조건 매도는 피해야 한다. 주가 수익 비율에 의존하다 보면 시장의 기본적인 흐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주가 수익 비율을 사용하는 경우는 딱 한번 뿐인데 성장주로 분류되는 기업의 장래 순이익예상치에 근거해 앞으로 6-18개월 후의 목표주가를 산정할 때다.  

목표주가 산정 방식 = 향후 2년간 순이익 에상치를 구한 다음 주가 차트에 나타난 처음 매수 지점에서의 주가 수익 비율을 곱하고 여기에 100% 혹은 그보다 약간 더 높은 수치를 또 곱해준다. 마지막으로 곱해주는 100% 혹은 그보다 약간 더 높은 수치를 또 곱해준다. 마지막으로 곱해주는 100% 혹은 그보다 약간 더 높은 수치를 또 곱해준다. 마지막으로 곱해주는 100%혹은 그 이상의 수치는 성장주가 본격적으로 상승할때 보여주는 평균적인 주가 수익 비율의 상승폭이다.( 따라서 100% 라면 실제로는 2를 곱해줘야 한다.) 이렇게 계산한 목표주가에 따라 강세장 기간중에도 성장주를 매도 할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