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세 (5)
퀸스갬빗

촬영일: 7.16 .2023 기록일: 7.18. 2023 부동산PF 관련 우려, 금융권 부동산 PF, 시한폭탄 되나? 개인뿐만 영끌 한것이 아니라 건설회사들도 무리하게 사업을 했다고 볼수 있다. 증권사도 지금 PF대출 연체율 15%가 넘는다. 1차 하락 2011년 (주식 부동산 둘다 하락 13년 말까지 부동산 수도권 시장이 계속 하락) , 2024년도 추가적 2차하락 예상한다. 2차하락은 데이터로 본다면 1차보다 더 깊은 하락이 올 수 있겠다. 금리를 못올리는 이유가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고 여기에 전세금과 자영업자들의 대출까지 기업적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까지 개인적으로 돌려버리면 그 액수는 어마어마 하다. 기업부채는 말할 것도 없고. =결론적으로 가계, 기업 부채가 막대하며 현재는 위태로운 상황이다. ..
촬영일: 2023. 7. 16. 기록일: 2023. 7.16 300조원 역전세 폭탄 터집니다. 진짜 무서운게 없어요. 깡통전세 , 값싼 경매가 되었다거나 전세가 하락했거나.역전세 집값 10억 전세가격 5억 이였는데 2년 지나서 전세가격이 4억으로 떨어졌다. 최소한 1년정도 역전세가 진행이 될것이다. 2+2 계약갱신 청구가 7월말 시행이 된다. 거의 4년 동안 전세금을 못올리니 집주인 입장에서는 지금 안올리면 이득이 없다고 판단, 전세금을 올리기 시작한다. 임차인 입장에서는 지금 안사면 전세금계속 올릴거 같으니 계약을 덥썩 물어버린다. 전세금이 천정부지올라간다. 2021년 까지 시작하여 길게 2022년 상반기 까지 역대 몰렸던 계약금액이 300조 가까이 된다. 2+2년 계약갱신·5% 상한 아래 참조 htt..

촬영일 : 2023. 7. 4. 기록일 : 2023. 7. 13 상반기 부동산 시장 결산으로 보는 하반기 전망 전세사기 -? 특별법까지 나왔다,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이 법은 전세사기 피해자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됐다. 국토교통부장관이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를 통해 전세사기피해자를 결정하고, 이들에 대해 경매, 공매 절차, 조세 징수 등에 관한 특례를 부여함으로써 피해자의 주거안정을 도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전세사기피해자로 인정받고자 하는 임차인은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중요한 내용이니 반드시 기억해야 하고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갖출 것 △피해 보증금은 최대 5억원 이하 일 것 △임대인의 파산이나 회생절차 개시 되었거나 / 임차주..

촬영일 2023.5.21 기록일 2023.7.11 -13 아직도 거품이 잔뜩 낀 미친 집값, 한국 부동산 일단 GDP대비 부동산 가격을 비교해보자면 일본이 부동산 버블이 터질 때 gdp대비 배율이 6.7892/ 대한민국 작년 말 기준해서 6.5넘었다. -피케티 인덱스 한나라의 자본총량이 그 해 소득의 몇년치에 해당하는 지에 대한 측정치 그 수치가 퍼센티지로 하면 700%에서800% 수치로 하면 7,8 = 이때 버블이 많이 터졌다. 미국 일본 그리스 이태리 스페인 등 이 수치 범위에서 터졌다. 주택구입 부담지수를 봐도 주택가격이 여전히 높다. 강세지역권들(서초 강남 마초용산성동)은 조정이 더 올것이다. 전세대출 제도때문에 한국 부동산이 조금 고평가 되어있는 것은 사실이다. 변동금리 6개월마다 있다. 코픽스..

촬영일: 2023. 6. 28 기록일: 2023. 7. 4 서울이어 수도권 집값도 반등 집값바닥은 글쎄... 현재 집값 국민 소득 대비 어느 정도 수준인가? 적정 집값수준 국민 소득 대비 장기 평균이 10-12배 이다. 만약 가구 합산 소득이 1억 2천만원이면 그 가구는 최대 12억원에서 14억원 정도 되는 그런 주택을 사는게 적합하다. 약 10년정도 사회생활 하면서 집값의 절반 모으고 대출받아서 사는게 일반적이다. 2021년 서울 집값 18배까지 상승 , 현재 서울 집값 14-15배로 유지 장기평균 주택가격 대비로는 여전히 15%로 높은 수준이다. 아직은 때가 아니다VS지금 들어가도 괜찮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지금은 비싼 수준이다. 과거에 쌀 때 샀다면 언제든지 정리해도 좋다. 만약 매도한다면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