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스갬빗
주식 팔면 후회한다! 4월 더 큰 "상승이 시작될 것" / 주식을 "싸게 살 기회"는 "이 때" 온다! by 김영익 교수 본문
주식 팔면 후회한다! 4월 더 큰 "상승이 시작될 것" / 주식을 "싸게 살 기회"는 "이 때" 온다! by 김영익 교수
Queen's Gambit 2023. 2. 22. 22:45촬영일 2023. 2. 20.
기록일 2023. 2. 22.
미국연방은행 금리 인상 할것이다. vs 금융시장 금리인상 안할 것이다.
경제를 보는 시각에 나눠진다.
하지만 미국은 소프트 랜딩은 전혀 아니다. 실질 gdp가 이미 잠재적 gdp 에 멀어져 있고 경착률 과정이다.
작년 4분기 실적 마이너스 .. 사실상 거의 하드랜딩에 가까운것이다.
시장의 시각, 금리인상을 하게 될 경우 힘들어진다. BUT 연준의 시각, 물가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금리 인상을 한다.
경기가 지금 좋다. 그러나 나중에는 경착륙이 올수 밖에 없다. 앞으로는 소비가 둔화될 것이다.
현재로서는 고용율도 좋고 성장률도 좋지만 갑작스럽게 꺾일 수 있다. 소비가 줄어들면 생산과 고용을 너무 많이 했다고 생각한다.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계속 밟는다면 소비둔화로 이어질수 밖에 없을 것
현재로서는 너무 좋은데 이 상황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가?
결국 시장이 옳다. (특히 외환시장) 달러가 114까지 갔다가 최근에 101 안팎까지 떨어진 상황 달러지수 가 떨어진 상황을 외환시장에서는 미국경제가 이 금리인상을 견딜 수 없다는 말이다. 이 뜻은 미국이 조만간 금리를 내리고 돈이 덜 들어가는 것을 기대 하면서 미국 달러지수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2,3분기 소비지표를 보면 외환시장이 맞았는가 ? 연준 생각이 옳았는가? 가 눈에 보인다.
현재CPI 지수와 PPI 지수가 나왔다. 전월대비 상대적으로 높다. 인플레이션이 과연 잡히겠는가 하는 우려가 있는데?
이미 상승률 하락 추세는 시작 되었다. 앞으로의 3분기 소비자 물가는 3%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
흐름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이상 고민할 것이 아니다.
FOMC, 금리인상 50bp로 해야 한다. 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는가?
고용지표만 보면 그럴 가능성이 있긴 하다만, 시차 효과가 있다. 작년 3월 부터 금리를 인상했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효과를 봐야 된다. 2,3 분기 가면 소비가 줄어들기에 미국의 경제 성장이 마이너스로 갈수 있다는 전망
0.25percent 인상하는데 그칠 것이다고 보고 있다. 당장 이번주에 발표될 개인 소비자 물가지수 pc를 보는 것이 좋다. 소비자물가 보다 개인 소비자 물가지수를 보는 것이 더 판단하기 좋다.
▲위 주가지수상승률을 보면 가장 많이 상승한 쪽이 작년에 가장 많이 하락한 쪽이다. (주가하락했을 때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이 나스닥 코스닥상승도 마찬가지)
2.3분기 정도에 경착륙이 발생했을 때 조정이 올것이다.
미국 주가지수가 나스닥을 기준으로 시장이익률이 낮아지면 기업이익률이 자연스럽게 낮아지게 되므로 하반기 들어서 약간의 조정을 거칠것이다. 아주 큰 폭 조정은 아니고 10% 안팎 조정은 있을 것이다 s&p 3600선 적정으로 보고 있음
미국 고평가 되어 있는 상태 우리나라는 저평가,
미국, 금리 인상을 하면서 약간의 조정을 할 것이다. 6,7 월 조정 10%까지 , 하지만 지금은아니다.
우리나라 의 경우, 미국보다 더 적게 조정이 될 것이다. 올라갈때는 더 많이 올라갈 것이다. 2400선 적정
▲선행지수
한국, 현재 경기는 어렵지만 선행지수가 시사한바 4,5 월 달에는 경기가 큰 폭으로 회복될 것이다
▲은행금리 낮아지고 있다. 주식 시장 주변 자금이 증가 하고 있다. 선행지수가 오르고 주변지수가 오르면서 4.5월 달 정도는 오를 수 있겠다.
지금 들어가도 되나?
하반기에는 비중을 줄일 수 있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조정이 있더라도 지금 모아두는 것 도 괜찮다. 중장기 적으로 본다면
※경제 용어
노 랜딩
"노 랜딩(no landing)"은 경제가 침체나 소강상태에 빠지지 않고 상당 기간 호황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소프트 랜딩
'경기연착륙(Soft landing)'은 경기과열의 기미가 있는 경제를 적절한 성장률로 둔화시켜 불황을 미연에 막는다는 의미이다.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비행기를 활주로에 부드럽게 착륙시켜야 하듯 경기가 갑자기 불황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서서히 충격없이 하강시킨다는 것 .
하드랜딩
경기가 갑자기 냉각되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실업자가 급증하는 현상.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호경기(好景氣)·공황(恐慌)·불경기(不景氣)가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경기변동 과정을 겪는다. 경기가 정점에 달하면 다시 후퇴하면서 침체기로 들어서는데, 경기경착륙은 이 때 경기가 갑자기 냉각되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실업자가 급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경기경착륙이 일어나면 경기가 고성장에서 급격한 침체기로 돌아서기 때문에 투자가 위축되고 실업이 증가하며, 소득은 줄어들고 주가는 폭락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UFMvY69Fm7w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주식 엄청난 성장이 올 겁니다 지금이 ‘싸게 살 기회’에요 (신민철 작가 1부) (0) | 2023.02.26 |
---|---|
"제2의 엔비디아 여기서 나와요" 전세계의 돈이 몰릴 진짜 AI 인공지능 수혜주|이수빈 대표 3부 (0) | 2023.02.23 |
투자 대가들의 포트폴리오 공개! 미국주식 위기일까? by 수페 (0) | 2023.02.21 |
대공황급 경제위기 옵니다, '제발' 제 말을 들어주세요 by 최용식 소장(김작가TV) (0) | 2023.02.18 |
삼성이 인수할 AI물류 로봇 재야의 고수가 '지금 사는 기업' 입니다. (0) | 202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