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스갬빗
앞으로 5년 부동산 집값 진짜 무서운 게 오고 있습니다 by김광석 실장 본문
22.10.26.앞으로 5년 부동산 집값 진짜 무서운 게 오고 있습니다 (김광석 실장)
촬영일: 22.10.22
긴축의 시대가 장기화 된다고 하셨다 왜?
물가 안잡히는 가 하는 질문과 유사
내년의 금리 인하는 어려울 겻 같다.
물가-금리-부동산시장-실물경제 영향
달러 강세가 소비자 물가를 잡는데 한계를 준다. 워낙 강달러다보니 원화를 달러로 달러를 원화로 바꾸는 폭이 크다.
향후 기준 금리 인상 행보 전망?
파월의 마음을 읽어라.
자이언트 빅스텝 1월 그이후 베이비 스텝 서서히 낮출것이다.
소비자 물가잡고 수입물가 잡고
고금리 시대가 유지되기에 긴축은 2023년에도 유효하다.
금리상승으로 전 세계에서 벌어질 일들은 무엇이 있는가?
유엔 최초로 통화정책에 대한 언급, 금리 올리지 말라.
신흥국 위기 더 부추기기 때문에
미국은 물가를 잡기 위해 경기침체를 끌어오려고 하고 있다. 즉 공급은 부족하고 수요는 넘쳐나니, 공급을 늘릴 수 없다면 소비침체 경기침체를 선택하겠다. 신흥개도국은 전혀 그럴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
반드시 기준금리가 역전 된다고 해서 자금유출(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돈을 빼간다.) 이 있는 것이 아니다.
부동산 시장 조정 기간 3-4년정도이다.
22.6월 정도에 마이너스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주택 실적을 봐도 아무리 싼들 못산다. 고금리때문
부동산 거품 수축이라고 한다.
안 팔리는데도 주택은 만드는(공급과다) 거품이 이제는 가격을 통해 조정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23년도 까지 거품 수축이 될 수 있겠다.가격이 조정되긴 하다만 파격적인 조정은 아닐 것이다. 버블 붕괴 bubble breaking
집값은 어느 정도 까지 언제까지 하락할 수 있는 건가?
역사는 반복되지 않는다. 어제 풀었던 공식을 오늘 다시 문제를 만나면 그 공식으로는 절대 풀릴 수 없다. 그렇지만 참조할 게 역사 밖에 없으니 설명드리는 것이다. 주택의 조정 사이클 3-4년 정도 거쳤고 21-22년초는 상승국면이였다면 22년 중반부터는 하락 부분 이니 24.25년 역시 조정부분 (거품수축기) 다만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금리인하가 된다면 다시 상승국면으로 접어들수 있다. 부동산이나 주식 시장의 모든 스탠스여부는 금리여부에 달려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의 BODY를 모르면 당신의 사업은 절대로 성장 못합니다 (0) | 2022.11.20 |
---|---|
주식은 '이때까지' 꼭 파세요, 진짜 무서운 게 오고 있습니다 (0) | 2022.11.13 |
'40년'만에 찾아온 마지막 기회, 그냥 넘기지 마세요 정주용 대표 (0) | 2022.11.13 |
폭락 후 강한 상승장 옵니다" 이 신호가 나오면 전재산을 주식에 올인하세요"|강영현 이사 3부 (0) | 2022.11.13 |
로봇 관련주 '이때' 사면 돈 법니다 (2) | 2022.11.07 |